트레이딩

[시스템 트레이딩] 가상화폐 트레이딩 봇 freqtrade 사용법 익히기 1

freewizard 2022. 6. 3. 16:47

가상화폐 시스템 매매를 도전하기로 했다.

 

시중에 나와있는 솔루션인 cryptohopper, bitsgap도 가성비 있는 솔루션이지만 조금 더 섬세하게 알고리즘을 짜고 싶어서 직접 개발했었다.

 

그런데 직접 개발하자니 있는걸 또 만드는 듯 하여 시중에 있는 가상화폐 트레이딩 봇 라이브러리를 찾아본 결과 가장 잘 관리되고 있는 freqtrade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가상화폐 트레이딩 봇은 크게

 

1. 백테스팅

2. 가상 트레이딩

3. 실제 트레이딩

 

이런 과정을 통해 전략을 실제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개발해야 되는 것들로는

 

1. 백테스팅, 그래프 그리기 모듈

2. 가상 트레이딩 모듈

3. 실전 트레이딩 모듈

4. 주문 체결 및 관리 시스템

5. 리스크 관리 시스템

 

등 많았다. 또한, 백테스팅을 통해 이상적인 지표값이 무엇인지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구해내는 작업을 수행할 필요도 있었다.

 

그런데 freqtrade라는 라이브러리에서 그것이 모두 이미 구현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제 남은 것은 이 봇을 사용하는 것 뿐이다.

 

따라서 freqtrade를 사용해보기로 했다.

 

freqtrade는 docker을 이용해 디플로이 하는 것이 추천되는데, 모든 디펜던시를 자동으로 다 설치해놓은 작동하는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docker을 잘 모르시는 분들은 docker은 리눅스 가상 환경인데, 모든 필요한 것들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가상 머신이라고 보면 된다.

docker container은 이러한 image의 런타임이다.

 

docker을 각자의 플랫폼에 맞게 설치한 후에, 실행시키면 된다.

 

나는 맥북을 사용하기 때문에 docker desktop을 설치해서 사용했다.

설치하고 켜면 우측 상단 상태바에 도커 모양이 뜨고, 터미널에서 docker 및 docker-compose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freqtrade 문서에 나오는 명령어들을 입력하면 freqtrade가 실행되게 된다.